1. CSS 전환과 애니메이션의 한계
CSS 전환과 애니메이션 1) CSS 전환 (tansition) : "class 의 변경에 의해" 스타일이 변화할때, 변환되는 시간을 조절해서, 애니메이션 "처럼" 보이게 만드는 방법 tansition : all 300ms ease-out 처럼 사용하는 그것 2) 애니메이션 ( animation ) : 컴포넌트가 동작할때, 애니메이션을 주는 진짜 애니메이션 CSS 전환의 한계 : 컴포넌트가, css 에 의해 변경될 때 만 가능하다. 조건에 만족하면, DOM에서 생성되거나 사라지는, Modal 과 컴포넌트 들에서는 사용 자체가 불가능하다. CSS 애니메이션의 사용 1) animation 옵션을 사용하여, [애니메이션 이름], [시간], [타이밍] 을 정한다. 2) @keyframes 을 사용하여, [애니메..
2022. 12. 22.
9. [리액트- 라우터 - 배포시 주의사항] SPA 의 장점을 잃어버리지 말 것
리액트는 결국 정적 앱이다. ** 리액트앱은 어쨌든 서버측 코드가 없는, "정적 앱" 이라는 것을 반드시 인지하자. ** Nextjs 나, Nodejs 처럼 "서버측 코드가 존재하는 앱이 아니다." React를 만들 때 "서버에 요청"만 할뿐, 우리가 직접 "서버가 되어, 그 요청을 응답" 하는 코드는 없었다. 반면, Nextjs 나, Nodejs 를 만들 때에는, (req,res) 를 통해서, 받은 응답을 검사하고, 응답하는 코드를 작성 할 수 있었다. 그게 REST API 의 핵심이자, "서버측 코드를 보유" 하고 있는 상태이다. 라우터가 있는 앱을 배포할 때 주의 할 것 클라이언트 사이드와 서버사이드에서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자. [클라이언트측] 1) 리액트는 SPA 를 만들때 유용한 라이브러리 이다..
2022. 12. 22.